- 내가 데이터 분석 트랙에 참여한 계기는 무엇인가요?
식품, 뷰티 업계의 브랜드 마케터로 3년간 근무 후 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마케터 직무로 직무 변경을 위해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제가 근무했던 곳은 마케터임에도 데이터에 기반한 액션플랜을 수립하지 않아서, 객관적인 근거에 기반한 의사결정을 거의 내리지 않는다는 것이 아쉬운 점이었습니다.
그래서 캠페인 종료 후 다음 캠페인을 개선해가는 과정에서, 매출, 부진재고 수, 인게이지먼트, 노출 수, 팔로워 수 등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것 외에는 지표를 잡을 수 없어 KPI 측정에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이번 직무 캠프를 통해서 데이터 분석 역량을 함양한 마케터가 되는 것이 목표이며 직무 변경(브랜드 마케터 → IT업계 CRM 마케터)을 준비 중입니다. 더불어, 산업군도 변경하고자 합니다. (헬스케어, IT) 기존에 있던 업계는 성장성에 있어 한계를 느꼈고, 다른 산업 군의 마케팅도 한 번 시도해보고 싶었습니다.
2. 내가 이해한 데이터 분석가(혹은 생각했던 직무)는 어떤 역할을 하는 사람인가요?
다양한 도메인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해관계자들에게 유의미한 인사이트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업이나 조직에 이이익이 되는 의사결정을 하는데 도움을 주는 사람이라고 생각했습니다.
3. 데이터 분석을 경험해보셨나요? 해보셨다면 어떤 경험을 하셨는지를 작성해주시고, 아니라면 데이터 분석에 대해 찾아본 것을 작성해주세요.
광고 데이터와 한 해 마케팅 성과, 영업 매출 성과 분석 정도를 경험해보았습니다. 그러나 경험의 깊이는 깊지 않습니다.
4. 데이터 분석가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에 있어 나의 강점과 연관된 부분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혹은 보완, 개선하고 싶은 개인 역량이 있나요 ? 과거 혹은 현재의 업무와 연관 지어도 좋습니다. ‘능력’을 기준으로 고민해주세요.
브랜딩을 담당했기 때문에, 이야기의 살을 붙이는 것에 강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능력은 각각의 떨어져 있는 객관적 지표를하나로 이어주는 인사이트 발굴에 도움이 될 것 입니다. 또한, 신규 사업의 성장을 돕는 Business Developer로서의 역할을 담당한 적이 있어 고객의 전체적인 구매 과정과 구매 행동 패턴을 중점적으로 보는 CRM마케터의 관점에 도움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개선하고 싶은 역량은 분석 역량입니다. 전형적인 문과라 숫자에 약한 편입니다. 매일 12시간 씩 진행되는 부트캠프 과정에서 진득하게 한 자리에 앉아 부족한 부분을 개선해나가고 싶습니다.
5. 본 코스 수료 후, 어떤 데이터 분석가(혹은 생각했던 직무)로 성장하고 싶나요?
본 코스 수료 후 데이터 분석 역량을 갖춘 마케터로 성장하고 싶습니다. 이를 통해 마케팅 활동 시 성과 개선에 유의미한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싶습니다.
6. 본 코스 수료 후, 데이터 분석가(혹은 생각했던 직무)가 된 5년 후 목표로하는 점은 무엇인가요?
최근들어 구글, 페이스북, 애플 등 글로벌 기업에서 개인 정보 이슈 등으로 3rd-party data 를 활용하는 퍼포먼스 마케팅 제한이 점점 심해지면서 우리 고객 데이터인 first-party data를 활용하는 CRM 마케팅이 대세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따라서 고객정보를 기반으로 담당하고 있을 브랜드의 고객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안하는 마케터가 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