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학 기초 정리 (5) : 상관계수(피어슨 상관계수, 스피어만 상관계수, 켄달타우 상관계수, 상호정보 상관계수)
·
기초통계
1.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 Coefficient Correlation) 전형적인 선형 관계를 볼 수 있다. (비선형관계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어떤 숫자형태의 변수여야 한다. 숫자 형태의 값들은 연속적인 값을 가진다. 연속적인 값을 가지지 않으면 피어슨 상관계수를 쓸 수 없다.  -1에서 1의 값을 가지고, 1은 완전한 양의 상관관계 / -1 은 완전한 음의 상관관계 / 0은 상관관계가 없음  ✅파이썬에서 활용방법#피어슨 상관계수 계산pearson_corr, _ = pearsonr(df['Study Hours'], df['Exam Scores'])print(f"피어슨 상관계수: {pearson_corr}") 2. 비모수 상관계수(Nonparametric Correlation Coefficien..